기존의 종이책을 스캔하기 위해서는 스캐너가 필요하다. 보통 복합기와 함께 제공되는 평판스캔 기능을 많이 활용하는데, 막상 스캔을 해보면 매우 불편하고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된다. 그래서 자동급지 ADF 기능과 양면 스캔이 되는 고급 기종의 스캐너를 찾게 된다.
* 현재 북스캔 사업은 저작권 문제로 모두 폐쇄된 상태이고, 스캐너 대여 혹은 스캐너 이용료를 받는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최근 스마트폰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해서 북스캔을 할 수 있는 앱도 많이 출시되었고, 그 중에는 FastScanner가 무료이면서 기능도 뛰어나 호평을 받고 있다.
이처럼 스캐너를 대신해서 스마트폰 촬영을 이용한 북스캔 방식의 솔루션을 활용해서 판타스캔이라는 상품이 출시되었다. 구성은 고질라 거치대와 인터벌 기능이 있는 카메라 앱이 기술의 핵심이다. (관련기사)
제품의 설명과 광고에는 200페이지 책을 북스캔하는데 불과 10분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는 펼쳐진 종이책 양면을 인터벌 촬영으로 할 경우 계산된 시간으로 보면 된다. 즉 5초 간격으로 촬영하면 1분에 24페이지이므로 10분이면 240페이지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요즘 판매되는 약 100만원대 ADF 양면 스캐너의 속도와 결과물 품질에는 못 미치지만 분명 엄청난 가격에 매우 빠른 속도로 스캔할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출시 초기 약 25,000원 정도에 이르던 가격도 현재는 2만원대면 구매 가능하다.
사용후기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사진 품질과 노동력 부분이 주 핵심이다. 다시 말해 스마트폰의 카메라의 성능에 따라 스캔 품질이 현저히 차이 난다는 점이다. 이는 판타스캔의 문제점이라기 보다 개인이 소유한 스마트폰의 카메라 성능에 달린 문제다. 따라서 사용후기에 실린대로 스캔이 아닌 촬영에 대한 북스캔 결과물에 대한 개인적 성향과 차이도 있겠지만 더 분명한 것은 앞서 말한대로 스마트폰의 카메라가 본질적인 핵심이다.
그리고 노동력 문제다. ADF 양면 스캐너는 종이책을 분철한 후 넣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본 솔루션은 수시로 직접 페이지를 넘겨주어야 한다. 기계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 매우 지루할 수 있고, 넘기는 과정에서 실수가 발생해서 제대로 스캔되지 않아 촬영을 중지해야 할 것이다. 무척 곤욕스러운 일임에 분명하다.
그 다음 개인적으로 생각볼 때 거치대의 안정성이다. 판타스캔 솔루션의 핵심이 스마트폰인데, 카메라 성능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자체도 개인마다 천차만별이다. 누구는 4인치 내외의 폰을 쓰기도 하고 혹자는 6인치 가량의 대형폰을 쓰는 사람도 있다. 이러하니 무게가 모두 다르고 거치대의 지지도는 당연히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요긴해 보이는 건 사실이다. 간단하게 스캔하고자 할 때...혹은 복사를 대신해서 몊 페이지를 스캔하고자 할때...등등...스마트폰은 항상 들고 다니지 않는가?
그렇다면 판타스캔의 핵심 중 스마트폰과 거치대인데, 그 중 스마트폰에서 인터벌 촬영을 대신할 앱이 포인트다.
판타스캔 앱은 구글마켓에서 무료로 등록되어 있지만 사실상 무료는 아니다. 기존의 스캔된 문서를 보는 뷰어 기능은 무료이지만 새롭게 스캔하기 위해 촬영하는 것은 제품 구매시 등록된 정보와 등록키를 입력해야만 한다.
그래서 인터벌 기능이 있는 앱을 찾아보기로 했다. 생각보다 쓸만한 무료 앱이 없다. 그 중에서 인터페이스는 너무 초라하지만 다양한 인터벌 설정, 색온도, 촛점(MF 포함), 해상도, 감도 등 너무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Stopmotion camera 앱을 찾았다.
자 이제 거치대가 필요하다. 거치대는 집게와 고질라 방식으로 구성된 스마트폰 거치대면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해도 단돈 1,500원부터 판매되는 상품이 있을 정도다. 사실 구매하지 않고 철사 옷걸이(세탁소에서 제공해주는 무료 옷걸이?)를 활용해 볼까 했다가 가격이 너무 저렴해서 놀랬다.
이제 간단한 스캔은 < 거치대와 stopmotion 앱 > 조합으로 해결하고 제대로 북스캔해야 하는 것은 ADF 스캐너를 이용하면 될 것이다.
'리뷰 >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토샵 단축키 (0) | 2015.12.10 |
---|---|
Excel 2010 VBA 강좌 모음 (0) | 2015.10.28 |
2015 달력 파일 - 엑셀 (0) | 2014.12.23 |
낙관 만들기 (0) | 2014.12.09 |
QR 코드를 이용해보자. (0) | 201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