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블릿이 보편되고, 이와 관련한 리뷰와 정보들 역시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제품들의 선택은 더욱 복잡해지고, 너도나도 할 것이 전문가가 되기를 강요받고 있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즉, 본연의 목적이라 할 수 있는 유저의 업무 활용이나 컨텐츠 이용이 아닌 기기를 분석하고 심지어 중독과 같은 종속의 과정으로 이어지는 건 아닌지 자문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IT 기기들이 봇물처럼 쏟아지다 보니 제품에 대한 리뷰가 홍수처럼 나올 뿐 아니라 마치 경쟁적으로 빛의 속도로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심지어 제품이 출시되기도 전에 기기에 대한 제품 출시 정보 제공을 넘어 리뷰도 나오고 있는 것도 심심치 않게 보게 된다.
IT 분야 전문가나 이에 관한 소양이 충분한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양질의 정보 제공이 큰 도움이 되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대다수의 일반인들에게는 정보의 혼란만 가져오고, 오히려 자신의 본연에 목적에서 벗어난 선택을 가져오는 건 아닌지 늘 자문해보곤 했었다. 즉, 지름신 강요를 제조회사 뿐만 아니라 전문가라는 그룹을 통해 더 그럴싸하게 포장되어 일반 소비자의 구매충동을 불러오는 건 아닌가 하는 점이었다.
IT 기기의 발전은 정말 하루가 길 정도로 눈 깜짝할 순간에 발전하는 것 같다.
그러나 보통 사람들의 업무나 컨텐츠 활용, 나아가 모든 일반 소비자가 그 다양한 컨텐츠나 기기 이용이 필요로 하는 것인가를 고민해보면 그렇지 않다고 생각이 든다.
물론 뉴스, 검색, 음악, 영화, 만화, 전자북, 게임들의 다양한 미디어와 컨텐츠의 개발과 재생산은 누구나 관심있는 것이고, 이를 위해 IT 기기를 사용하는 목적이 될 수 있다. 또한 문서도구를 비롯한 업무 도구 역시 맥락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겠다.
그렇지만 이러한 정보의 소비 패턴이 사람마다 다른가?
기기의 성능 차이나 발전만큼 다양하거나 빠르게 변하지 않는다. 간단한 예를 자신이 자주 같는 인터넷 카페나 블로그가 있다고 하자. A라는 까페에 자신이 매일 활동하고, 그 곳에 올라는 정보를 하나도 빠짐없이 정독하는 유저라면 PC를 이용하기도 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이동 중에 눈을 떼지 않고 보게 되는 일이 자주 있다.
결국 유저의 사용습관이 IT 기기를 활용하는데 핵심 포인트라는 점이다. 물론 이를 원활히 또는 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IT 기기의 기능이 어떠한지 비교해 보아야 한다. 그러나 벤치마킹 프로그램을 돌려야 차이나는 수치적 데이타의 차이가 과연 일반 소비자 뿐만 아니라 인간이 체감할 수 있는 차이인가 하는 점이다. 설사 기기의 성능에서 2~3배 차이가 나는 기능이 있다고 해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그 이유는 생각보다 단순하다. 근래에 출시되는 IT 기기들의 성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어 과거 10여년전 기기들과 비교해 브랜드, 제품간의 기기적 차이를 체감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물론 사람에 따라 특정 브랜드, 특정 모델, 특정 기능에 대한 관심 등에 크게 반응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사람들은 일반적인 사람들과 비교해 그와 관련한 충분한 정보와 선택권을 사전에 충분히 가지고 있다.
결국, 기기에 대한 선택권은 시시때때로 변하는 제품의 기능보다 유저의 사용습관과 목적이 더 중요하고, 변하지 않는 불변의 잣대임에 부정할 수 없다.
따라서 태블릿을 구분할 때 가장 중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보면 크기, OS가 가장 중요한 점이 되겠고, 휴대성이 강조되는 만큼 얼마나 사용 가능할지를 결정하는 배터리와 태블릿 특성상 컨텐츠 소비가 많다면 액정이나 스피커가 중요할 수 있다. 또한 주변기기를 연결하려고 한다면 풀사이즈 USB나 블루투스나 무선랜 모듈의 안정성도 중요한 부분일 수 있는데, 특별히 중국산 제품이 아니라면 이런 부분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현재 나오는 태블릿은 먼저 2가지 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스마트폰과 동일한 iOS기반과 안드로이드를 쓰는 모바일 OS군, 둘째 PC와 동일한 윈도우를 쓰는 OS군으로 볼수 있다. 물론 리눅스, WINDOW RT를 비롯해서 그 이전엔 PALM OS, WINCE, QT 등 다양한 제품들도 있었고, 근래들어 구글의 지원을 받고 있는 크롬북이 있지만 태블릿으로는 출시된 바 없기에 제외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 두 제품군에 따라 분류 기준이 되는 크기를 따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모바일 OS군은 비록 오피스 관련 앱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으나 업무보다 인터넷 서핑, 뉴스 검색, 음악 및 영화, 전자북, 게임 등과 같은 컨텐츠 및 미디어 소비가 주 목적이 된다. 따라서 휴대성이 가장 중요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크기에 따른 구분을 어떻게 보아야 할지가 중요한 관건이다.
특히 이들 제품을 전화기능과 함께 쓰는 것이라면 별도의 가방없이 포켓에 보관하는 측면도 크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OS군에 따라 구분하는 건 맞지 않는 접근 방식이다.
결국 다시 고민하면서, 내린 결론은 이렇다.
1. 포켓형 : 전화기능과 함께 쓰면서 별도의 가방없이 늘 휴대해야 한다면 5인치 이하의 IT 기기를 택해야 한다.
2. 핸드형 : 전화기능도 쓰지만 소형 가방이나 손에 쥡고 기기를 활용하는 경우 5~6인치 IT 기기를 택해야 한다.
3. 컨텐츠 소비형 : 전화기능없이 오로지 휴대하면서 업무보다 컨텐츠 소비가 많다면 7~8인치 IT 기기를 택해야 한다.
4. 업무 보조형 : 전화기능없이 컨텐츠 소비도 있지만 업무 작업을 보조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면 10~11인치 IT 기기를 택한다.
5. 업무 주용도형 : 전화기능없이 오피스 제품군을 주로 활용해서 업무용이라면 13인치 태블릿 혹은 노트북을 선택해야 한다.
여기에서 1, 2형은 전화기능으로 인해 모바일 OS군의 제품으 택하고, 3형은 취향에 따라 컨텐츠 소비가 절대적으로 높다면 모바일 OS군, 업무 특히 문서작성 수준의 업무 작업이 있다면 윈도우 OS군 제품을 택한다. 하지만 엑셀과 같은 SHEET 작업을 해야 한다면 8인치로는 너무 작다는 것이 보편적인 평가이기 때문에 이런 경우 10인치 이상의 제품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4형은 업무는 거의 하지 않으며 컨텐츠 소비가 많고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이 안드로이드/iOS에만 있는 경우라면 모바일 OS군을 택한다. 반면 컨텐츠 소비도 하지만 업무 작업이 있다면 윈도우 OS 제품군을 선택한다.
5형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노트북을 권장하는 케이스라고 보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0인치 이상의 대형 화면의 태블릿을 선택하는 경우는 전자북(소설, 만화, 악보 등) 활용이 주된 목적이거나 보다 큰 화면으로 영화를 보고 싶어하는 유저, 터치화면을 이용한 그림 작업을 하는 경우라고 보면 될 것 같다. 그 외 활용에서 10인치 이상의 대형 태블릿을 택할 경우 불편한 휴대성 문제로 대형화면의 태블릿 선택을 후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자신에게 필요한 제품의 윤곽이 잡힌다.
'뉴스와 정보 > 과학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렴한 웹 호스팅 서비스 찾기 (0) | 2016.12.09 |
---|---|
한일 지진 정보 모음 - 지진규모 4.0 이상 (0) | 2016.09.22 |
중국 바이두에서 내부 딥러닝 기술 공개 (0) | 2016.09.03 |
드롭박스에서 윈도우 XP 서비스 중단 (0) | 2016.09.03 |
미세먼지와 황사 뭐가 다른가? (0) | 2016.03.08 |